복지브로
"죽을 수 있다" "탄핵 부결시켜라"…'계엄의 밤' 들고 돌아온 한동훈 본문
여권 인사에게 체포조 관련 제보 받아
尹 "탄핵 부결시켜달라" 조기퇴진 거부
김 여사 문제로 취임 전 사퇴 요구 받아
"이재명, 계엄보다 더한 일 할 것" 견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정계복귀에 시동을 걸었다.
12·3 불법계엄 전후 상황을 기록한 책을 출간하며 대중에 다가섰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찬성할 수밖에 없던 과정을 털어놓으며 지지자들에게 호소했다. 지난해 12월 16일 윤 대통령 탄핵안 가결 직후 당대표에서 물러난지 두 달여 만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해선 "한국에서 가장 위험한 인물"이라고 날을 세웠다.
계엄 당일 '한동훈 체포조' 제보 받아
26일 공개된 자서전 '국민이 먼저입니다'는
△계엄의 밤
△선택의 시간
△진퇴의 시간 등 3부분으로 나눠 계엄 직후부터 탄핵 표결, 당대표 사퇴에 이르게 된 과정과 심경을 담았다.
한 전 대표는 먼저 급박했던 계엄 선포 직후 자신이 체포될 수 있다는 제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평소 알고 지내던 여권 인사로부터 "다른 사람은 몰라도 한 대표는 절대 체포되면 안 된다. 체포되면 정말 죽을 수 있다"는 전화를 받았다고 했다. 이 인사는 "국회로 가지 말고, 즉시 은신처를 정해서 숨으라"고 당부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계엄 해제 이틀 뒤 독대에서 "정치인을 체포하려 한 사실이 없다.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차장의 말은 거짓말"이라고 한 전 대표에게 발뺌했다고 한다.
윤 대통령이 조기퇴진을 거부하면서 탄핵에 이르게 된 과정도 털어놨다. 한 전 대표는 "12월 10일 대통령실 관계자로부터 아무래도 대통령이 자진 사퇴할 의사가 없어 보인다는 말을 들었다"며 "그 관계자가 전한 대통령의 진의는 '마지막 기회를 갖고 싶다, 자진 사퇴할 생각 없다, 결국 탄핵으로 가겠지만 당이 도저히 막을 수 없을 때까지 몇 번이고 탄핵을 계속 부결시켜 달라'는 것이었다"고 전했다. 그는 "탄핵에 찬성하는 것은 나에게도 굉장히 고통스러운 결정이었다"며 "탄핵으로 인해 마음 아픈 분들을 생각하면 지금도 가슴이 저민다"고 심경을 토로했다.
비대위원장 취임 전 사퇴 요구 받아
한 전 대표는 당 비상대책위원장으로 내정된 2023년 12월 말 용산에서 돌연 모든 직을 사퇴하라고 요구해온 일화도 처음 공개했다. 그는 "갑자기 대통령실 비서관을 통해 전화가 왔다. 비대위원장직을 포기하고, 장관직도 사퇴하라는 요구였다"며 "무슨 일인지 알아봤더니 그날 조선일보에 여당 관계자 멘트로 '김건희 여사 특검을 총선 이후에 수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나왔다. 대통령이 그 멘트를 제가 한 것으로 잘못 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사퇴 요구를 받고 나서 몇 시간 뒤 김 여사가 문자를 보냈다"며 "잘못 알았고, 미안하다(는 내용이었다)"고 밝혔다. 이후 한 전 대표는 2024년 1월 김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과 관련해 "국민 눈높이"를 강조했다가 대통령실의 압박에 한 차례 더 사퇴 위기에 몰렸다.
.
'NEWS > Korean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성맘' 오해 지운 한가인…"이해돼"·"솔직한 모습" 응원ing (0) | 2025.02.27 |
---|---|
“父 상중에 여행간 아들” 아내에 맞아 숨진 ‘1타 강사’의 비극…“집에서 개보다 서열 낮아” (3) | 2025.02.27 |
배현진 "학교서 아이 무참히 살해하고도 매달 100만원…연금 막아야" (4) | 2025.02.27 |
전한길, 국회 찾아 "尹 탄핵시 헌재는 가루돼…헌법재판관은 을사오적" (3) | 2025.02.27 |
AI를 활용한 간단한 영상 제작 방법 (2) | 202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