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반응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국민의힘
- 이재명
- 헌법재판소
- 탄핵
- 김수현
- 김새론김수현
- 윤석열대통령석방
- 김수현김새론열애
- 한동훈
- 휘성사망
- 홍준표
- 윤석열석방
- 김새론
- 솔로라서
- 더불어민주당
- 트럼프
- 토트넘
- 임영웅
- 탄핵심판선고일
- 윤석열탄핵심판
- 윤석열
- njz
- 2030지지율
- 손흥민
- 탄핵반대
- 윤석열대통령
- 김수현김새론
- 탄핵심판
- 탄핵인용
- 도널드트럼프
Archives
- Today
- Total
복지브로
규제에 묶이고, 이커머스에 치이고… 2위 대형마트마저 흔들 본문
반응형
홈플러스 ‘회생절차’ 돌입
건설-유통 등 경기민감업종 ‘직격탄’… 신용등급 ‘상환 불능’ 최하위 강등
사측 “잠재적 자금부담 선제 대응”
업계 “MBK 빚 갚느라 투자 뒷전”
내수 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신동아건설, 대우조선해양건설 등 중견 건설업체들의 기업회생 신청에 이어 국내 2위 대형마트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를 밟게 됐다. 쿠팡을 비롯한 이커머스의 약진과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중국 이머커스 업체들의 공세 속에서 영업실적이 악화된 데 따른 것이다. 건설업이나 유통업 등 외부 경제 환경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경기 민감 업종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 4년 연속 적자, 매각은 난항
4일 한국신용평가와 한국기업평가는 홈플러스의 기업어음 및 단기사채 신용등급을 ‘A3―’에서 ‘D’로 강등했다. 지난달 28일 ‘A3’에서 ‘A3―’로 하향한 지 영업일 기준 하루 만이다. 기업어음·단기사채 신용등급 ‘D’는 최하위 등급으로 상환 불능 상태를 의미한다. 한국기업평가는 이날 등급 하향 배경에 대해 “홈플러스가 정상적인 영업 지속 가능성을 밝혔지만 금융 채무의 적기 상환 훼손으로 채무불이행 상태에 돌입한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1월 말 기준 홈플러스의 총차입금은 5조4620억 원으로 차입금 의존도(총자산에서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율)는 60.3%에 달했다.
홈플러스는 “이번 회생 신청은 잠재적인 자금 상환 부담에 대한 사전 예방적 차원”이라며 “현재의 현금 창출력을 고려할 때 단기간 내 현금수지가 안정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지만 홈플러스는 장기적인 실적 부진의 늪에 빠져 있다. 홈플러스는 2020년 이후 지속적으로 영업손실을 냈다. 2020년 6조9662억 원이었던 매출은 2023년 6조9315억 원, 지난해 3∼11월은 5조2552억 원으로 제자리 걸음이다. 2020년 933억 원의 영업이익을 낸 이후 2021년부터 2024년 11월까지 매년 1300억∼2600억 원씩 적자를 냈다.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는 2015년 9월 7조2000억 원을 들여 홈플러스의 지분 100%를 사들였다. MBK는 홈플러스의 기업형슈퍼마켓(SSM) 사업부인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분할 매각 등 수년간 새 주인 찾기에 골몰했지만 오프라인 유통업 불황 등으로 인수자를 찾지 못했다. 노조의 거센 반발도 매각의 주요 걸림돌이었다. 홈플러스 노조는 인력 감축과 점포 구조조정에 강력히 반대하면서 경영진과 갈등을 빚어 왔다.
유통업계에서는 MBK가 전체 인수 대금 중 4조3000억 원을 인수 금융으로 활용했는데 이 빚을 먼저 갚느라 투자 등 기업가치 제고에 투입할 재원이 부족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는 “MBK가 비용 절감에 주력하다 보니 경쟁사보다 투자를 늘리지 못해 영업 경쟁력이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 규제에 치이고 이커머스에 치이고
기업회생 절차에 돌입한 홈플러스뿐 아니라 대형마트 업계 전반은 내수 부진과 이커머스 업체들과의 경쟁으로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 특히 지난해부터 본격화된 중국 이머커스 업체들의 한국 진출은 이 같은 위기를 가속화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4년 연간 유통업체 매출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유통업체 매출 중 대형마트의 비중은 2020년 17.9%에서 해마다 줄어 지난해 11.9%까지 떨어졌다. 이 기간 온라인 비중은 46%에서 50.6%로 증가했다. 홈플러스뿐 아니라 이마트, 롯데마트 등 ‘마트 3대장’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이제 이커머스 업계 1위인 쿠팡을 밑돈다.
대형마트는 영업시간 제한, 의무휴업일 등의 규제를 받고 있다. 이러한 규제는 전통시장 보호를 위해 도입됐지만 이커머스 성장과 소비 방식의 변화로 규제의 실효성과 형평성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10년 넘게 이어진 대형마트에 대한 불합리한 규제, 코로나 사태로 인한 구매 채널의 온라인 이동, 쿠팡 및 C커머스의 급격한 성장 등 삼각 파고에도 영업 실적 개선에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응형
'NEWS > Korean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영웅, '뭐요' 논란 3개월 만 침묵 깼다…폭풍 일상 공개 (4) | 2025.03.05 |
---|---|
'결혼 12일만에 파경' 이민영, 으리으리한 '싱글하우스+프로 여행러' 삶 최초공개! ('솔로라서') (3) | 2025.03.05 |
“여보, 우리도 한번 해볼까”…국세청, 4일부터 ‘이것’ 신청받아, 맞벌이 ‘희소식 (0) | 2025.03.05 |
장제원, 2015년 성폭행 혐의 피소 경찰 수사…장 "사실 아냐" (2) | 2025.03.05 |
처음 본 여성 무차별 살해 30대의 황당한 변명…"사기 당해 스트레스" (1)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