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브로

블랙핑크 로제까지 합세하더니…전세계 발칵 뒤집어놓은 'K과자' 본문

NEWS/Korean News

블랙핑크 로제까지 합세하더니…전세계 발칵 뒤집어놓은 'K과자'

브로콜리아저씨 2025. 3. 10. 08:33
반응형

세계 휩쓰는 K과자…수출 1년새 30% 급증2월기준 4325만달러 신기록한류스타 마케팅 효과 '톡톡'

지난달 한국 과자 수출이 작년 동기 대비 30% 넘게 늘어 2월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9일 대체 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Aicel)에 따르면 K과자의 2월 잠정 수출금액은 4325만달러(약 630억원)였다. 2월 기준으로 첫 4000만달러 돌파다. 작년 동월 대비로는 32.3% 급증했다. 과자는 가공식품 전체 수출액(작년 기준)의 약 11.7%를 차지한다. 라면(30.5%)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미국이 지난달 39.9% 늘어난 1244만달러어치의 한국산 과자를 사들였다. 일본(664만달러)과 중국(544만달러) 수출도 각각 40.0%, 31.0% 증가했다. 대만 수출(254만달러, 54.0%)은 3개월 연속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세를 이어갔다.

K과자의 인기 배경으로 한국 제품을 소개하는 한류 스타와 유튜버들의 영상이 키운 마케팅 효과가 우선 꼽힌다. 유명 가수 로제가 작년 12월 영국 유튜브 채널에서 ‘새우깡’(농심)과 ‘초코파이’(오리온, 롯데웰푸드)를 소개한 영상은 조회수 440만 회를 넘겼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달 과자를 포함한 10대 수출 전략품목 육성 계획을 공개하며 “한류 인기를 활용한 국가별 SNS 마케팅 및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간접 광고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2월 수출 증가율은 과자 외에 음반 및 DVD(46.0%), 바이오의약품(43.4%), 대형 변압기(39.0%), 라면(30.3%), 화장품(22.8%) 등에서도 높게 나왔다.

바이오·변압기·K팝 수출주 전망 올해도 '파란불'

바이오의약품과 변압기, 가공식품 수출이 작년에 이어 빠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관련 수출을 주도하는 삼성바이오로직스, HD현대일렉트릭, 삼양식품 등의 올해 1분기 매출 전망에도 ‘파란불’이 켜졌다. 음반·DVD 수출은 수년 만에 회복세를 보이며 K팝 관련 주식이 반등할 것이란 기대를 키우고 있다.

◇바이오·변압기 수출 30% 증가

9일 대체 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Aicel)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수출 시장에서 바이오의약품과 변압기, 라면, 과자 등의 실적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바이오의약품 잠정 수출액은 지난달 6억2700만달러로, 작년 2월 대비 43.4% 급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생산시설이 있는 인천 연수구(송도)에서의 수출이 5억9473만달러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같은 기간 이 지역 수출 증가율은 47.9%다. 주요 품목·지역별 수출 실적은 한경에이셀에서 열흘마다 확인할 수 있다.

대형(1만㎸A 초과) 변압기의 지난 2월 수출은 1억2100만달러에 달했다. 글로벌 전력 인프라 확대 추세에 힘입어 작년 동기 대비 38.9% 급증했다. 변압기 수요 증가는 인공지능(AI) 관련 사업에 따른 데이터센터 증가와 전기차산업 성장이 이끌고 있다. 최대 시장인 미국으로의 수출이 4950만달러로 1년 만에 267.7% 늘었다.

오리온과 롯데웰푸드 등이 견인해온 과자 수출은 2월에 4300만달러로 32.3% 증가했다. 과자 수출은 2021~2023년 4억4000만달러 선에서 제자리걸음을 하다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을 필두로 급증해온 라면 수출은 지난달에도 30.3% 늘어난 1억2100만달러를 기록했다. 2월 기준 3년 연속 30%대 고성장 흐름을 지속 중이다.

 

◇바이오·변압기 수출 30% 증가

9일 대체 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Aicel)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수출 시장에서 바이오의약품과 변압기, 라면, 과자 등의 실적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바이오의약품 잠정 수출액은 지난달 6억2700만달러로, 작년 2월 대비 43.4% 급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생산시설이 있는 인천 연수구(송도)에서의 수출이 5억9473만달러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같은 기간 이 지역 수출 증가율은 47.9%다. 주요 품목·지역별 수출 실적은 한경에이셀에서 열흘마다 확인할 수 있다.

대형(1만㎸A 초과) 변압기의 지난 2월 수출은 1억2100만달러에 달했다. 글로벌 전력 인프라 확대 추세에 힘입어 작년 동기 대비 38.9% 급증했다. 변압기 수요 증가는 인공지능(AI) 관련 사업에 따른 데이터센터 증가와 전기차산업 성장이 이끌고 있다. 최대 시장인 미국으로의 수출이 4950만달러로 1년 만에 267.7% 늘었다.

오리온과 롯데웰푸드 등이 견인해온 과자 수출은 2월에 4300만달러로 32.3% 증가했다. 과자 수출은 2021~2023년 4억4000만달러 선에서 제자리걸음을 하다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을 필두로 급증해온 라면 수출은 지난달에도 30.3% 늘어난 1억2100만달러를 기록했다. 2월 기준 3년 연속 30%대 고성장 흐름을 지속 중이다.

◇음반 수출은 5년 만에 증가

음반 및 DVD의 2월 수출은 5년 만에 증가해 눈길을 끌었다. 전년 대비 46.0% 급증한 3600만달러어치가 해외에서 팔렸다.

음반 및 DVD 수출은 K팝 전체 실적을 추정할 수 있는 데이터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KCTI)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음반류 수출액은 2023년 기준 K팝 해외 매출 추정 금액(1조2377억원)의 31%를 차지했다. 나머지는 해외 스트리밍 서비스(21%)와 해외 공연(48%)이다.

최근 수출 증대는 신인 아티스트의 선전과 맞물려 있다. 하이브 소속 ‘보이넥스트도어’의 최신 음반은 작년 9월 미국 음악 전문매체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200’ 40위에 올랐다. 국내 최대 연예기획사인 하이브는 작년 BTS(방탄소년단) 공백에도 창사 이후 최대인 2조2545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7일 주가는 25만원으로 1년 전(18만5900원)과 비교해 34.5% 상승했다.

 

한국경제

반응형